교육과정

세분화된 전공과 다양한 교과목으로 타대학원과 차별화된 교육과정

교과과정 안내 예시 (4학기간)

1학기 2학기
영어교육연구방법개론
영어청취지도 세미나
영어교재와 교육과정설계
e-러닝과 영어교육
영어평가세미나
전공연구Ⅰ
전공연구Ⅱ
전공연구Ⅲ
영어평가개론
영어교육질적연구방법론
영어어휘지도법
영어말하기와응용언어학
전공연구Ⅰ
전공연구Ⅱ
전공연구Ⅲ
1학기 2학기
영어교육학원론
영어읽기지도법
사회문화이론과영어교육
교수학습을통한제2언어습득론
영어양적연구방법론
전공연구Ⅰ
전공연구Ⅱ
전공연구Ⅲ
제2언어학습동기세미나
조기영어교육론
영어쓰기연구
영어교육최근연구동향
전공연구Ⅰ
전공연구Ⅱ
전공연구Ⅲ

상기일정은 원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과목명은 원생인원 변동, 교과과정의 개정 등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전공별 교과목

가. 공통필수과목

석박사공통 필수과목

- 영어교육학원론 (Theory and Practice in ELT) 3학점
필수 입문과목으로서 제2언어로서의 영어교육 학습이론을 영역별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영어교육 연구방법 개론 (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ology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영어교육 최근 연구흐름을 검토하면서 영어교육논문의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기법을 배워 연구논문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박사공통 과목

- 영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영어교육의 양적 연구에 필요한 기초통계지식, 이원변산분석, 회귀분석, 다원 변산 분석 등을 이해, 실행할 수 있고 연구 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영어교육 질적 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질적연구방법론의 다양한 기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실제 출간된 논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독자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영어교육 현장연구 세미나 (Seminar in ELT Action Research) 3학점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구기법인 “현장개선연구법“ 에 대하여 배우고, 관련 연구 논문을 읽음으로서 실제로 독자적인 현장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측정론 (Measurement Theory) 3학점
고전검사이론과 G-theory, Multi-facet analysis, 문항반응이론 등 측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론과 체계를 이해하고, 평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측정학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나. 세부전공별 과목(석박사 공통) (※ 표시가 있을시 핵심과목임)

교육과정 및 평가

- 영어교재와 교과과정 설계 (ELT Materials and Curriculum Development) 3학점 ※
이 과목은 제 2언어 이론에 근거한 외국어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이론적 배경을 쌓고, 이를 통하여 외국어교육과정을 설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기존의 다양한 영어교육과정 및 실러버스를 개관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제2언어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살펴본 다음, 이를 기반으로 실제 소규모 영어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 영어교과서 및 각종 영어교재를 검토하고 설계, 분석하는 연습을 한다.
- 영어평가 개론 (Introduction to Language Testing) 3학점 ※
언어평가의 종류 및 유형, 언어평가의 원칙, 평가 설계, 대안평가, 그리고 듣기/읽기/말하기/쓰기평가에 대한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지식을 소개한다.
- 영어평가 세미나 (Seminar i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3학점 ※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최근의 언어평가 연구의 동향을 이해하고 언어평가 이론과 그 이론들의 한국적 현실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 영어청취지도 (Teaching Listening) 3학점
청취입문과목으로, 기본적인 청취론을 파악하며, 현장 청취교육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청취 논문작성을 수행해 보면서 현장감 있는 실제적 능력을 키운다.
- 영어말하기와 응용언어학 (Teaching Speaking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제2외국어로서의 말하기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말하기지도법을 탐구한다. 또한 우리나라 말하기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논의와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영어읽기지도 (Teaching Reading) 3학점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제2외국어로서의 읽기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읽기지도법을 탐구한다. 또한 우리나라 읽기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논의와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영어쓰기 연구 (Teaching Writing) 3학점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 작문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론들을 탐구하여 습득하여 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흐름을 이해한다.
- 영어어휘지도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3학점
영어학습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부분인 어휘 지도 및 학습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를 고찰하고 교육현장에 알맞은 어휘 지도 방법을 연구한다.
- 영어청취지도 세미나 (Seminar in Instruction for Listening Comprehension) 3학점
실제적인 학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한다. 기본 청취이론부터 최근 청취동향까지 교재와 논문을 통해 접하고, 다른 학문영역과 청취의 통합적 능력을 기른다.
- 영어말하기 쓰기 평가 (Assessing Speaking and Writing) 3학점
영어 수행 평가의 관점에서 말하기와 쓰기 평가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말하기와 쓰기 평가의 실례 연구를 수행하고, 평가자 훈련을 통하여 직접 평가 실습을 수행하여 본다.
- 음성학과 영어발음지도 (Teaching English Phonetics and Pronunciation) 3학점
영어 음성체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올바른 발음법을 익히고 발음교수 관련된 이론적, 실제적 제반문제들을 검토한다.

e-러닝 영어교육

- e-러닝 영어교육 (e-Learning in ELT) 3학점 ※
영어교육과 관련된 모든 정보통신기술(ICT)의 전반에 관하여 탐색하고 이를 영어교육이론적인 측면에서 그 활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하여 컴퓨터보조언어교육(CALL)이라는 영어교육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관련된 컴퓨터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제2언어 이론에 근거한 컴퓨터 활용능력을 익히게 된다.
- CALL 연구 세미나 (CALL Research Seminar) 3학점 ※
다양한 CALL 연구의 영역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논문을 논의함으로써, 개별 연구목표,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 등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된다. CALL 과목을 최소 1과목을 이수한 학생만 수강가능하다.
-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교수 설계와 평가 (Exploring and Evaluating Multimedia Applications) 3학점 ※
다양한 영어교육관련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및 저작도구들을 검토하고 영어교육이론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또한 실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영어교육컨텐츠 및 교수자료를 설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 컴퓨터 매개 의사사통과 영어교육 (Computer-Meditated Communication) 3학점
CALL 분야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인 컴퓨터매개 의사소통(CMC)의 전반에 관하여 탐구하고 논의한다. 영어교육에 있어서 CMC 역할, CMC 교육설계, CMC연구 등을 다양하게 접함으로써, CMC 교수설계와 학술연구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표이다.
- 모바일기반 영어학습 세미나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Seminar) 3학점
최근들어 각광받고 있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영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한 콘텐츠 개발이나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한다.

제2언어학습

- 교수-학습을 통한 제2언어 습득론 (Instruct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학점 ※
외국어 습득론의 한 분야로서 최근 각별한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는 교수-학습을 통한 외국어 습득론을 다룬다. 교수-학습이 외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습득 과정, 순서, 속도, 성취 수준, 결과 등의 다각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교수-학습의 효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또한 다양한 학습 유형별 효과 비교,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학습자 변인과 학습유형간의 상관관계 등과 같은 세부 주제들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영어교육의 탄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 응용언어학 연구 (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
이 과목은 응용언어학의 여러 하위 분야를 심도있게 학습하고, 영어교육과 관련있는 한국적 응용언어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제 2언어 학습동기 세미나 (Seminar in L2 Learning Motivation) 3학점 ※
이 과목은 영어를 포함한 제 2언어 학습동기 및 학습자 요인에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학습한 후, 정량적, 정성적,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독자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대안적 영어교육 패러다임 탐색 (Exploring Alternative Paradigms of ELT) 3학점
이 과목은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는 개론적 성격에서 벗어나, 최신 영어교육이론이나 교수법을 선정하여 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영어교육 방향 및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 영어 응용음성학 세미나 (Seminar in Applied Phonetics) 3학점
영어의 음성적 자질과 특징을 실험음성학을 통해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반 영어 음성체계를 분석하고 토론한다.
- 사회문화이론과 영어교육 (Sociocultural Theory and Englilsh Education) 3학점
비고츠키의 개념인 인간정신에 관한 사회문화이론을 영어교육과 응용언어학 전반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은 사회문화 이론에 대한 선행 지식이 없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이 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근접발달영역, 내적 언어, 사적 언어, 사회적, 상징적, 문화적 매개, 그리고 행위이론과 같은 사회문화이론의 핵심 개념을 학습하게 된다.
- 영어말하기와 응용언어학 (Teaching Speaking in Applied Linguistics) 3학점
영어 말하기는 영어에 대한 다양한 지식이 필요한 기량이며 본 과목은 영어 말하기에 관한 이론과 연구를 고찰하여 익히고 학교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영어교육과 코퍼스 언어학 (Corpus Linguistics and ELT) 3학점
전자화되어있는 텍스트인 코퍼스 데이터에 특성과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관련이론을 통하여 분석된 자료들을 영어교육에 어떻게 활용하고, 연구할 것인가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한다.

조기영어교육

- 아동영어교육론 (Child English Education) 3학점 ※
이 과목은 유아부터 초등학교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교수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아동 영어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그리고 실용적 제안에 대해서 토론하게 되며, 특히 영어학습자로서 아동들의 인지적 특성이나 교재나 학습활동 선정과 같은 내용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
- 조기영어교육 방법론 (Methods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3학점 ※
조기영어교육에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노래, 게임, 챈트, 드라마 등 다양한 조기영어 교육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이중언어교육과 몰입프로그램 (Bilingual Education and Immersion program) 3학점
유아와 어린이 영어교육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이중언어교육이나 몰입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며, 한국상황에 적합한 지도 방안을 살펴본다.
- 조기영어 문해지도 (Early Childhood English Literacy Teaching) 3학점
어린이의 문자발달을 문해이론 입장에서 조명해 보고, 어린이의 문자인식을 유아 영어의 문자, 어휘 등 표현 기능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파닉스, 음운인식등의 지도 방안을 토의한다.
- 아동언어습득론 (Child Language Acquisition) 3학점
영유아 아이들이 제1언어 및 제2언어를 습득해 가는 과정에 대하여 언어대조분석, 사회언어학적 관점, 그리고 멀티미디어 교육 관점 등 다양한 각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다. 전공연구

- 전공연구Ⅰ(Studies in Major Field Ⅰ) 2학점
- 전공연구Ⅱ(Studies in Major Field Ⅱ) 2학점
- 전공연구Ⅲ(Studies in Major Field Ⅲ) 2학점